https://deahan.tistory.com/426
[React] 272샘의 React6 (JSX)
https://deahan.tistory.com/425 [React] 272샘의 React5 (개발 폴더 파일 구조)https://deahan.tistory.com/417 [React] 272샘의 React4 (Node 웹서버)https://deahan.tistory.com/416 [React] 272샘의 React3 (NODE NPM 이해)https://deahan.tistory.
deahan.tistory.com
를 읽었다면
MyComponent.jsx 를 아래 처럼 고치고, 낯선 { }에 호기심 시선을 주장.
결과 영상을 눈에 보냈다면 (npm run dev), 아마 느낌이 또 찾아 왔을 것이다..
느낌을 정리하면 JSX 사이에 { }를 넣으면 자바 스크립트로 인식하나
정도일 것이다.. 훌륭하다. 그렇다! (단 지금은 제약사항이 있다라고 기억하자)
[ 아직 타이밍이 깊이 들어가면 기피 현상이 발생할 확률이 높은 시점이다 ]
MyComponent.jsx 를 아래처럼 고치공 다시 한번 결과 영상을 체크!
React에선 && ( and 연산) 이 아주 많이 습관적으로 사용되는 표현식이다.
&& 앞의 표현이 true일 때만 && 뒤의 표현이 실행 되는 데, 아래와 같은 코드를
if(!myEnemies.length){
/* 실행 코드 */
}
if(myFriends.length){
/* 실행코드 */
}
&& 를 이용하여 절약한 경제적 코드라 생각하면 된다.
배열.map은 배열의 개별 요소의 값을 변형 시킬 때 사용하는 메소드 인데,
매개변수로 콜백함수가 온다.
배열관련 메소드도 아주 많이 사용되는 데, 그 중에
map, filter, reduce, sort등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.
더불어 callback(콜백)함수에 대한 이해도 꼭 필요하다.
위 배열 메소드들은 모두 callback함수를 매개변수로 사용한당.
2023.06.09 - [자바스크립트] - 시베리안 허숙희의 자바스크립트 비기닝 12 (콜백함수 callback)
2023.06.15 - [자바스크립트] - 시베리안 허숙희의 자바스크립트 비기닝 20 (prototype 프로토타입)
글을 꼬옥 읽고, 확인하고 오자!(100% 이해는 아니어도, 감은 잡고 와야 한다)
분명 읽지 않았거나, 몰겠어요 라는 그들이 있을것이다.
index.html이 있는 위치(폴더)에 아래 파일을 만들고, 소스를 차분히 읽어내리자!
mapCheck.html
현재 브라우져 주소는 http://localhost:5173 인데
http://localhost:5173/mapCheck.html 로 바꾸어 아래와 같은 결과를 확인!
map 메소드는 정말 널브러지게 쓰니... 결국은 이해도가 상승할꺼다.
React는 자바스크립트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,
위 내용에 대해 전혀 감이 없다면 개인적인 생각은 더 진행 될리가 없다.!(감 1개라도...)
[ 화이팅 하자!~~, 조금 감을 잡고 계속 쓰면 손에 결국 붙는다! ]
MyComponent.jsx 를 아래처럼 고치공 다시 한번 결과 영상을 체크하자!
http://localhost:5173 결과 화면은 아래와 비슷!
포인트를 알면 소스 의도가 보인다.
JSX안에 if문을 쓸 수 없다는 것이다
그리하여 조건? 참일때 실행문: 거짓일때실행문 형식의 삼항연산자를 썼다
소스를 다시 보장. 의미가 의미심장하게 심장에 의미를 남긴당.
[ if(){} 양쪽의 주석 /* */ 을 풀면 빨간 밑줄이 사용할 수 없음을 알려준다. ]
'REAC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React] 272샘의 React9 ( Props 구조 분해 ) (2) | 2024.10.10 |
---|---|
[React] 272샘의 React8 ( Props 이해 사용 ) (0) | 2024.10.10 |
[React] 272샘의 React6 (JSX) (6) | 2024.10.08 |
[React] 272샘의 React5 (개발 폴더 파일 구조) (3) | 2024.10.08 |
[React] 272샘의 React4 (Node 웹서버) (1) | 2024.10.07 |